글쓴이 : 홍차도둑
야구장은 백화점이다!
야구단 운영의 개선사항.
박동희 기자의 기사를 보고 몇몇 분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보았다.
그러자 Stretford End 님께 약속했던 리퀘스트 포스팅도 생각나서...다시금 정리를 해 보기로 결심한 것.
(실은 더 뒤에 공개하려 했지만...)
11년 전에 다녀온 것이라 지금의 뉴 웸블리는 아니다.
2000년 당시에는 이 경기장 때려부시냐 마냐를 놓고 구장 설계가 변형되기도 했다. 원래는 웸블리의 상징인 '트윈 타워'는 남겨놓은 구성안(1996년 경에 잉글랜드에서 만든 2006월드컵 비디오에는 그러한 디자인이었으나 나중에 현재의 모습으로 재설계된다)
이 이야기를 11년전의 것과 다르게 쓰는 이유는 이때 잉글랜드 넘들이 보여준 이러한 일종의 '뮤지엄'의 운영에 대해선 혀를 둘러댈 정도의 운영이었던데다가 축구장을 그야말로 '남는 장사'로 뽕 뽑아먹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웸블리는 차후 설명하겠지만 '축구'만 하는 곳이 아니다. 권투의 '전설의 4인방'중 한명인 마빈 헤글러가 영국의 참피언을 꺾어버린 곳이 바로 이 웸블리었다. 록 음악을 좋아하는 분이라면 1980년대 아프리카(이디오피아)난민 돕기를 위한 LIVE AID 콘서트의 스타트를 한 곳이 바로 이 웸블리다.
이 웸블리는 2000년 당시 이미 철거가 예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어차피 EURO2000보러 왔는데 다른데 돌아보고 싶기도 해서 돌아본 것이기도 했다.
몇차례에 걸쳐서 글을 올리겠지만 분명 1930년대에 지어지고 계속 개보수하고 하면서 시설 및 여러가지들을 어떻게 만들고 투어코스 등을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대한 훌륭한 답을 보여주었기에 2001년 경에 내가 운영하던 홈페이지(http://tirano.k-net.or.kr)에 올렸던 글을 아예 새로 써 본다.(위의 홈페이지는 지금 서버 닫혀있으니 눌러봐야 안열린다)
1- 웸블리 개관
웸블리를 '축구의 성지'로 불리게 된 것은 펠레가 한 [Church of Football]이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사실 펠레는 웸블리에서 정식으로 경기를 뛰어본 적이 없다. 그리고 웸블리는 축구전용구장도 아니었다....-_-;
1932년 왕실 박람회장으로 만들어진 웸블리는 여러 종목의 경기장으로 전용된다.
1948년 런던 올림픽의 메인 스타디움이자 육상 경기장으로 쓰여진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2000년을 맞어 새로운 한 세기를 맞았을 때 웸블리는 공식 사이트를 열기도 했다.
http://www.wembley-endofanera.com 이다. 현재 이 사이트는 폐쇠되어 더 이상의 기록을 볼수는 없지만
"WEMBLEY"
END OF AN ERA-VENUE OF LEGENDS
YOUR CHANCE TO TAKE PART IN HISTORY라는 명제로 3D 디자인으로 된 뉴 웸블리의 새로운 모습 등을 공개하여 팬들을 기대에 차게 했다.
2- 웸블리로 가는 길
웸블리는 런던의 웸블리에 있다. 뻔한 이야기지만.
대한민국으로 옮겨놓고 본다면 서울에서 구파발과 대화 사이쯤이 될거다.
http://www.tfl.gov.uk/assets/downloads/standard-tube-map.pdf
요 PDF 파일을 여신 다음에 3-B 블럭을 보시면 '웸블리 파크' 라는 역이 나온다. 그 역이 바로 웸블리 역이다.
(근데 잘 보면 같은 블럭 안에 웸블리 센트럴 이라는 역도 있다. 이 역은 뒤에 소개하겠다.
귀찮으면 PDF 파일의 2페이지를 보면 웬만한 명승지역에 대한 블럭 다 나온다. 그걸로 찾아도 된다.)
보통 시내 관광을 하다보면 요기는 축구광들이라도 보통은 '베이커 스트리트'역을 거쳐 간다.
어디서 많이 들음직한 이름 아닌가? 그렇다 셜록 홈즈의 거리 베이커 스트리트다.
[베이커 스트리트 지하철 역의 벽화, 기억으로는 해머스미스&시티 노선에 있던 것으로 기억한다...베이커 스트리트 역 자체가 무려 5개 노선이 모이는 곳이라...하여간 지하철 3개 노선중 맨 바닥에도 셜록홈즈의 저 실루엣은 있다. 사진은 'The Sign of Four'의 한 장면 셜록 홈즈의 많은 에피소드들을 저렇게 붙여놨다]
참고로 사진을 붙여놨지만 웸블리로 가는 베이커 거리 역에서 두가지가 있다.
메트로폴리탄 노선과 Jubilee 노선이다. 잘 보면 같은 곳을 가는데 하나는 역 세개 하나는 역 하나다. 어떤걸 타고 갈지는 뭐...수도권급행열차 타는것과 비슷하니만큼 열차 안내를 잘 '보고' 타야 한다.
웸블리는 지상 노선으로 간다. 지하철이 아니다. 그래서 지상 라인으로 올라가면 이런 모니터를 볼 수 있다.
[옥스브릿지 행 메트로폴리탄 라인 안내, 런던의 지하철은 서울의 지하철 5호선이나 6호선처럼 여러갈래로 갈라지거나 끝이 순환 노선일 수 있다. 서울-수원-천안 뿐 아니라 서동탄으로 가는 것도 있듯이 졸라 잘 보고 가야 한다. 뭐 그래도 웸블리는 어디로 갈라지던지 다 간다. 베이커 거리에서 두정거장 밖에 안가니까. 옥스브릿지 바로 밑에줄에 흔들흔들하지만 '웸블리 파크'라는 거 보일거다. 이런 것들을 잘 보고 가면 된다.]
Jubilee라인은 몇정거장 더 가야 하기 때문에 짜증나니 메트로폴리탄 라인을 타는게 더 편하다. 열차도 늦게 오는 편은 아니다.
웸블리 파크 역에 도착해보자.
김 빠질거다. 역 자체가 무지 작걸랑...-_-;
나중에 또 설명이 나오겠지만 웸블리 근처의 역은 무려 세개다. 원래 런던의 서클3 구간쯤 되면 작은 역들이 많긴 하지만 그래도 우리로 따지자면 '잠실올림픽 경기장' 급인 이곳의 역은...진짜 농담 아니라 ... 10사람 차면 꽉 찬다...역사 크기가 말이지...-_-;
이 계단을 올라가면 왼다. 친절하게도 스타디움 아레나 라고 안내도 한다. 여기가 웸블리 역 ... 맞다.
그럼 아까 말한 웸블리 센트럴 역은?
실은...웸블리 파크 역하고는 반대편에 있다.
그리고 웸블리 파크 역에서는 웸블리 센트럴 역 안보인다...-_-;
경기장에서는 보인다.
경기장에서 웸블리 파크 역 가는 통로는...
이렇게 생겼다. 친절하게도 역은 일로 쭉 가시오 라고 길안내...
근데 왜 막혀있냐면...이 길은 경기 있는 날에만 열리는 길이라서...-_-;;;;
그리고 잘 보면 어느 방향으로 가는건지 어느 라인으로 가는지에 대한 안내도 잠깐.
사진에선 안보이지만 마이크도 달려 있다. 요건 뒤에 또 이야기할 부분이다.
자 이젠 웸블리 역에 올라가보자!
2편에서 계속
야구단 운영의 개선사항.
박동희 기자의 기사를 보고 몇몇 분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보았다.
그러자 Stretford End 님께 약속했던 리퀘스트 포스팅도 생각나서...다시금 정리를 해 보기로 결심한 것.
(실은 더 뒤에 공개하려 했지만...)
11년 전에 다녀온 것이라 지금의 뉴 웸블리는 아니다.
2000년 당시에는 이 경기장 때려부시냐 마냐를 놓고 구장 설계가 변형되기도 했다. 원래는 웸블리의 상징인 '트윈 타워'는 남겨놓은 구성안(1996년 경에 잉글랜드에서 만든 2006월드컵 비디오에는 그러한 디자인이었으나 나중에 현재의 모습으로 재설계된다)
이 이야기를 11년전의 것과 다르게 쓰는 이유는 이때 잉글랜드 넘들이 보여준 이러한 일종의 '뮤지엄'의 운영에 대해선 혀를 둘러댈 정도의 운영이었던데다가 축구장을 그야말로 '남는 장사'로 뽕 뽑아먹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웸블리는 차후 설명하겠지만 '축구'만 하는 곳이 아니다. 권투의 '전설의 4인방'중 한명인 마빈 헤글러가 영국의 참피언을 꺾어버린 곳이 바로 이 웸블리었다. 록 음악을 좋아하는 분이라면 1980년대 아프리카(이디오피아)난민 돕기를 위한 LIVE AID 콘서트의 스타트를 한 곳이 바로 이 웸블리다.
이 웸블리는 2000년 당시 이미 철거가 예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어차피 EURO2000보러 왔는데 다른데 돌아보고 싶기도 해서 돌아본 것이기도 했다.
몇차례에 걸쳐서 글을 올리겠지만 분명 1930년대에 지어지고 계속 개보수하고 하면서 시설 및 여러가지들을 어떻게 만들고 투어코스 등을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대한 훌륭한 답을 보여주었기에 2001년 경에 내가 운영하던 홈페이지(http://tirano.k-net.or.kr)에 올렸던 글을 아예 새로 써 본다.(위의 홈페이지는 지금 서버 닫혀있으니 눌러봐야 안열린다)
1- 웸블리 개관
웸블리를 '축구의 성지'로 불리게 된 것은 펠레가 한 [Church of Football]이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사실 펠레는 웸블리에서 정식으로 경기를 뛰어본 적이 없다. 그리고 웸블리는 축구전용구장도 아니었다....-_-;
1932년 왕실 박람회장으로 만들어진 웸블리는 여러 종목의 경기장으로 전용된다.
1948년 런던 올림픽의 메인 스타디움이자 육상 경기장으로 쓰여진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2000년을 맞어 새로운 한 세기를 맞았을 때 웸블리는 공식 사이트를 열기도 했다.
http://www.wembley-endofanera.com 이다. 현재 이 사이트는 폐쇠되어 더 이상의 기록을 볼수는 없지만
"WEMBLEY"
END OF AN ERA-VENUE OF LEGENDS
YOUR CHANCE TO TAKE PART IN HISTORY라는 명제로 3D 디자인으로 된 뉴 웸블리의 새로운 모습 등을 공개하여 팬들을 기대에 차게 했다.
2- 웸블리로 가는 길
웸블리는 런던의 웸블리에 있다. 뻔한 이야기지만.
대한민국으로 옮겨놓고 본다면 서울에서 구파발과 대화 사이쯤이 될거다.
http://www.tfl.gov.uk/assets/downloads/standard-tube-map.pdf
요 PDF 파일을 여신 다음에 3-B 블럭을 보시면 '웸블리 파크' 라는 역이 나온다. 그 역이 바로 웸블리 역이다.
(근데 잘 보면 같은 블럭 안에 웸블리 센트럴 이라는 역도 있다. 이 역은 뒤에 소개하겠다.
귀찮으면 PDF 파일의 2페이지를 보면 웬만한 명승지역에 대한 블럭 다 나온다. 그걸로 찾아도 된다.)
보통 시내 관광을 하다보면 요기는 축구광들이라도 보통은 '베이커 스트리트'역을 거쳐 간다.
어디서 많이 들음직한 이름 아닌가? 그렇다 셜록 홈즈의 거리 베이커 스트리트다.

참고로 사진을 붙여놨지만 웸블리로 가는 베이커 거리 역에서 두가지가 있다.
메트로폴리탄 노선과 Jubilee 노선이다. 잘 보면 같은 곳을 가는데 하나는 역 세개 하나는 역 하나다. 어떤걸 타고 갈지는 뭐...수도권급행열차 타는것과 비슷하니만큼 열차 안내를 잘 '보고' 타야 한다.
웸블리는 지상 노선으로 간다. 지하철이 아니다. 그래서 지상 라인으로 올라가면 이런 모니터를 볼 수 있다.

Jubilee라인은 몇정거장 더 가야 하기 때문에 짜증나니 메트로폴리탄 라인을 타는게 더 편하다. 열차도 늦게 오는 편은 아니다.
웸블리 파크 역에 도착해보자.
김 빠질거다. 역 자체가 무지 작걸랑...-_-;
나중에 또 설명이 나오겠지만 웸블리 근처의 역은 무려 세개다. 원래 런던의 서클3 구간쯤 되면 작은 역들이 많긴 하지만 그래도 우리로 따지자면 '잠실올림픽 경기장' 급인 이곳의 역은...진짜 농담 아니라 ... 10사람 차면 꽉 찬다...역사 크기가 말이지...-_-;

그럼 아까 말한 웸블리 센트럴 역은?
실은...웸블리 파크 역하고는 반대편에 있다.
그리고 웸블리 파크 역에서는 웸블리 센트럴 역 안보인다...-_-;
경기장에서는 보인다.
경기장에서 웸블리 파크 역 가는 통로는...

근데 왜 막혀있냐면...이 길은 경기 있는 날에만 열리는 길이라서...-_-;;;;
그리고 잘 보면 어느 방향으로 가는건지 어느 라인으로 가는지에 대한 안내도 잠깐.
사진에선 안보이지만 마이크도 달려 있다. 요건 뒤에 또 이야기할 부분이다.
자 이젠 웸블리 역에 올라가보자!
2편에서 계속
'마이너리티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장 폭력-열정과 사랑이라는 미명하에 덮을수는 없다. (5) | 2012.03.27 |
---|---|
조 편성 단상-1 '죽음의 조'? 그런 건 없다 (3) | 2012.03.10 |
쿠웨이트전과 대비된 최은성의 씁쓸한 은퇴 (7) | 2012.03.01 |
안정환 그를 추억하며 - 2 (10) | 2012.02.27 |
안정환, 그를 추억하며 - 1 (2) | 2012.02.18 |